Q> Google Analytics 및 Google Search Console 설정에 대한 문의

제 사이트에 Google Analytics 및 Google Search Console 설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ㅇ Google Analytics 설정 방벙


1. Google Analytics 계정 생성:

  1. [Google Analytics](https://analytics.google.com/)에 접속합니다.
  2.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계정이 없다면 생성합니다.
  3. 로그인 후,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새 속성(Property) 생성:

  1. 계정을 생성하면 속성을 추가하라는 요청을 받습니다.
  2. 속성 이름(웹사이트 이름), 시간대, 통화 등을 설정합니다.

3. 데이터 스트림 설정:

  1. 웹사이트, 앱 또는 기타 데이터 스트림을 추가합니다.
  2. 웹사이트를 선택하고 URL을 입력합니다.

4. 추적 코드 설치:

  1. 데이터 스트림을 설정한 후, 추적 코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 이 추적 코드를 삽입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head> 태그 바로 앞에 넣으면 됩니다.
  3. 웹사이트 빌더(예: WordPress, Wix)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플랫폼의 플러그인이나 설정을 통해 쉽게 추적 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5. 설정 확인:

  1. 코드를 설치한 후, Google Analytics에서 데이터가 수집되는지 확인합니다.
  2. “실시간” 보고서를 통해 실시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ㅇ Google Search Console 설정 방벙


1. Google Search Console 계정 생성:

  1. [Google Search Console](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welcome)에 접속합니다.
  2.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2. 도메인 추가:

  1. “속성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도메인 속성(전체 도메인) 또는 URL 접두사 속성(특정 URL)을 선택합니다.
  3. 도메인 속성을 추천하며, 이는 서브도메인을 포함한 전체 도메인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합니다.

3. 도메인 소유권 확인:

  1.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 DNS TXT 레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2. 도메인 등록기관(예: GoDaddy, Namecheap)에서 DNS 설정에 접속하여 제공된 TXT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3. DNS 설정 변경이 적용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4. URL 접두사 소유권 확인:

  1. HTML 파일 업로드: 제공된 HTML 파일을 웹사이트 루트 디렉터리에 업로드합니다.
  2. HTML 태그: 제공된 메타 태그를 웹사이트의 <head> 섹션에 추가합니다.
  3. Google Analytics: 이미 설정된 Google Analytics 계정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Google 태그 관리자: Google 태그 관리자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사이트맵 제출:

  1. 사이트맵은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의 구조를 이해하고 더 잘 크롤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sitemap.xml 파일을 생성하여 루트 디렉터리에 업로드합니다.
  3.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사이트맵” 섹션으로 이동하여 URL을 제출합니다.

6. 데이터 확인:

  1.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인덱싱, 검색 성능, 사용자 경험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2. 검색 트래픽, 사이트 오류, 모바일 사용성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이렇게 Google Analytics와 Google Search Console을 설정하면, 웹사이트의 트래픽 및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SEO 전략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