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 등 관련 문의: T) 02-322-4688, F) 02-322-4646, E) info@wikisecurity.net

(*)출처:wikipedia

ISO/IEC 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및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 제정한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국제 표준이다. 이는 정보보호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인증으로, 정보보호정책, 물리적 보안, 정보접근 통제 등 정보보안 영역에 대해 국제 심판원들의 엄격한 심사와 검증을 통과해야 인증된다.


(*)출처:금융보안연구원

ISO/IEC27001:2013는 ISO/IEC27000, ISO/IEC27002, ISO/IEC27003, ISO/IEC27005 등과 중복되거나 충돌이 발생되는 부분을 줄이도록 하는 요구사항과 모든 ISO 경영시스템이 공통된 구조를 갖도록 동일 구문에 동일 텍스트 사용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최초 제정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개정을 실시하였다.


1. ANAB 또는 UKAS의 정책상 ISO/IEC27001인증을 원하는 기업의 경우 2013년 9월25일 이후로 2013revision으로 인증이 가능하다.

2. 사실상 ANAB 또는 UKAS는 인증을 원하는 기업들이 2014년 9월25일 까지는 2005revision으로 인증받고 이후 2013revision으로 Transition하도록 권장하고 있다.(심사원 확보 및 2013revision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등)

3. 2005revision으로 인증을 받은 기업들은 2015년 9월25일까지 2013revision으로 Transition해야 한다.

4. 2014년 9월25일 이후 인증을 받기 원하는 기업들은 2013revision으로만 인증받을 수 있게 된다.


1. ISO/IEC27001:2013은 모든 ISO 경영시스템의 공통된 구조를 통해 요구사항 및 용어를 호환 할 수 있도록 부속서 SL(Annex SL)의 부록 3(Appendix3)규격에 의거하여 표준 문장으로 기술하였다.

2. 부속서 SL(Annex SL)의 부록3(Appendix3)규격은 다음 3개 파트로 구성하였다.

①high level structure: 모든 ISO 경영시스템 표준의 주요 절 번호와 제목이 1~10까지 동일

②identical core text: 향후 모든 ISO 경영시스템 표준의 최소기준으로서 84개의 요구사항과 함께 45개의 “shall(~해야)“을 명시(ISO/IEC27001:2013은 59개 명시)

③common terms and core definitions: 3.01~3.22까지 용어가 정의되어 있으며 모든 신규 또는 개정된 ISO 경영시스템의 표준이 정의된 용어를 사용

3. ISO/IEC27001:2005에는 정보보안을 위한 통제 개선 시스템 목적으로 Plan Do Check Act 모델을 명시하였으나, ISO/IEC27001:2013에서는 경영 시스템의 지속적인 유지개선 목적으로 PDCA 모델을 명시 및 강조하지 않고 문서 전체적으로 개념을 포함하여 기술하였다.

4. ISO/IEC27001:2005에 “3.Terms and definitions”에 기술되었던 용어 정의는 ISO/IEC27000(Overview and vocabulary)로 이전하여 용어의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일부 용어의 경우 변경을 실시하였다.

5. ISO/IEC27001:2005의 “5 Management responsibility”을 수정하여 “5. Leadership”절에 포함하였다.

6. “preventive action”용어 대신 “action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를 사용하였다.

7. ISO/IEC27001:2013의 위험관리 사항은 ISO31000 Risk management 프로세스 기반에 위험분석•평가 중심에서 위협과 시나리오 기반의 위험분석•평가 중심으로 변경되었다.

8. ISO/IEC27001:2013 통제항목은 기존 11개 분야 133개에서 14개 분야 114개 통제항목으로 변경되었다.

①특정구현에 의존성이 있는 내용의 삭제 및 최소화를 위해 A.11.4.7(Network routing control), A.12.2.1(Input data validation) 등 20개 통제항목 삭제

②통제분야의 세부화와 통제목적 재 그룹화를 위해 A.9.4.2(Secure log-on procedures), A.12.4.1(Event logging) 등 19개 통제항목을 10개 통제항목으로 통합 및 분할

③통제항목 A.10.2.1(Service delivery)는 관리과정(8.1)에 포함

④프로젝트 관리 및 보안 시스템 도입 시 정보보안 프로세스와 사고대응 사항을 반영하여 A.14.2.1(Secure development polocy), A.14.2.8(System security testing) 등 11개 통제항목 신설


ISO/IEC 27001:2013 Annex(14개 영역)

2005 revision 11개 영역의 통제항목 133개는 2013 revision에서 14개 영역의 113개 통제항목으로 개정되었다. *BOLD: 개정된 영역

A.5 정보보안정책
A.5.1 정보보안을 위한 운영지시-목적: 사업요구와 관련법과 규제에 따른 정보보안에 대한 관리방향과 지원을 제공하기 위함
A.5.1.1 정보보안을 위한 정책 정보보안정책은 정의되어야 하고 경영층에 의해 승인되어야 하며 조직구성원들과 연관외부관계자들에게 공표되고 알려져야 한다.
A.5.1.2 정보보안 정책의 검토 정보보안정책은 계획된 주기나 중요한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적합성, 적절성 그리고 효과성 측면에서 검토가 되어야 한다.
A.6 정보보안조직
A.6.1 내부조직 -목적: 조직내의 정보보안을 시행하고 관리할 운영기반을 확립하기 위함
A.6.1.1 정보보안 책임 및 역할 모든 정보보안 책임은 정의되고 지정되어야 한다.
A.6.1.2 관계당국자와의 contact 관련유관기관과 적절한 접촉이 유지되어야 한다.
A.6.1.3 특수 이해집단과의 contact 특수 이해집단이나 전문협의기관 등과 적절한 접촉이 유지되어야 한다.
A.6.1.4 Project management에서의 정보보안 어떤 종류의 프로젝트라도 정보보안은 프로젝트 운영에서 다뤄져야 한다.
A.6.1.5 직무분리 직무충돌과 책임영역은 비인가된 혹은 의도되지 않은 조직자산의 변조와 남용을 줄이기 위해 분리되어야 한다.
A.6.2 모바일 장치와 원격업무–목적: 원격근무와 모바일장치 사용의 보안을 확립하기 위함
A.6.2.1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정책 모바일 장치 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책과 이를 위한 보안수단이 채택되어야 한다.
A.6.2.2 원격업무 원격근무지로부터 접속되고 수행되고 저장되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정책과 이를 위한 보안수단이 시행되어야 한다.
A.7 인적자원의 보안
A.7.1 채용전–목표: 조직원들과 계약업체들 그리고 외부관계기관 사용자들이 그들의 책임을 이해하고 그들이 고려해야할 역할에 대한 적합성을 확립하기 위함
A.7.1.1 선별 모든 입사지원자들에 대한 검증은 관련 법, 규제 그리고 도덕성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며 사업여건, 접근정보에 대한 분류와 인식된 위험에 대해서도 다뤄져야 한다.
A.7.1.2 고용계약의 조건 계약의무의 일부로 직원들은 정보보보안에 대한 개인과 조직의 책임이 명시되어 있는 고용계약서에 동의하고 사인하여야 한다.
A.7.2 채용중–목적 : 직원들과 외부관계 사용자들이 그들의 정보보안에 대한 책임을 인지하고 이행하는 것을 확립하기 위함
A.7.2.1 관리책임 경영진은 보든 직원들과 외부관계 사용자들이 수립된 조직의 정책과 절차에 따르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A.7.2.2 정보보안 인지, 교육, 훈련 조직의 모든 직원들과 외부관계 사용자들은 그들의 직무기능에 연계하여 적절한 인식프로그램,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하며 이러한 것들은 조직의 정책과 절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A.7.2.3 징계절차 정보보안사항을 위반한 직원들에 대해 취해져야 하는 공식적으로 전달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A.7.3 채용의 종료과 변경 –목적: 고용변경과 종료에 있어서 조직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함
A.7.3.1 채용 종료 및 변경 시의 책임 고용의 종료와 변경이후에 유지되는 정보보안책임과 의무가 정의되어야 하고 직원들과 외부관계 사용자들에게 알려져야 하며 강제되어야 한다.
A.8 자산운영
A.8.1 자산에 대한 책임 –목적: 조직자산의 적절한 보호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함
A.8.1.1 자산의 목록 정보와 정보처리설비에 연관된 자산들은 식별되어야 하며 이러한 자산목록이 작성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A.8.1.2 자산의 소유권 목록상의 자산들은 소유되어야 한다.
A.8.1.3 자산의 사용 승인 정보와 정보처리설비와 연관된 자산의 사용허용규칙이 규정되고 문서화되어야 하며 시행되어야 한다.
A.8.2 정보분류 –목적: 조직에서 그 중요성 만큼 정보가 적합한 수준의 보호를 받도록 하기 위함
A.8.2.1 정보의 분류 정보는 조직에 대해 그 가치와 법적 요구사항, 기밀성 또는 민감성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
A.8.2.2 정보의 표식 정보표식에 대한 적합한 절차들이 개발되어야 하고 조직이 채택한 정보분류체계에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A.8.2.3 자산의 처리 자산처리 절차가 개발되어야 하며 조직이 채택한 정보분류체계에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A.8.2.4 자산의 반환 모든 직원들과 외부관계 사용자들은 그들의 고용과 계약의 종료시에 그들 소유의 모든 조직자산들을 반환해야 한다.
A.8.3 매체 처리 –목적: 매체에 저장된 정보의 비인가된 공개, 변조, 삭제 또는 파괴를 보호하기 위함
A.8.3.1 제거가능한 매체의 관리 조직이 채택한 체계에 따라 이동매체의 운영에 대한 절차가 시행되어야 한다.
A.8.3.2 매체의 폐기 매체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공식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한다.
A.8.3.3 물리적 매체 전송 정보를 담고 있는 매체는 전송 중에 비인가 접근, 오용 또는 훼손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A.9 논리적 보안/접근통제
A.9.1 접근통제의 요건
A.9.1.1 접근통제정책
A.9.1.2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에 관한 정책
A.9.2 사용자 접근 관리
A.9.2.1 사용자 등록과 삭제
A.9.2.2 특수권한 관리
A.9.2.3 사용자 비밀인증정보의 관리
A.9.2.4 사용자 접근권한의 검토
A.9.2.5 접근권한의 조정 및 삭제
A.9.3 사용자 책임
A.9.3.1 비밀인증정보의 사용
A.9.4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접근통제
A.9.4.1 정보접근제한
A.9.4.2 보안 로그온 절차
A.9.4.3 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A.9.4.4 특권화된 유틸리티의 사용
A.9.4.5 프로그램 소스코드에 대한 접근통제
A.10 암호화
A.10.1 암호통제
A.10.1.1 암호통제사용정책
A.10.1.2 키관리
A.11 물리적 환경적 보안
A.11.1 보호구역
A.11.1.1 물리적 보안 경계선
A.11.1.2 물리적 출입통제
A.11.1.3 보호되는 사무실, 공간, 시설
A.11.1.4 외부 및 환경적 위협
A.11.1.5 보안구역에서의 업무
A.11.1.6 출하와 적재구역
A.11.2 장비
A.11.2.1 장비 도입과 보호
A.11.2.2 설비지원
A.11.2.3 케이블 보안
A.11.2.4 장비 유지보수
A.11.2.5 자산의 제거
A.11.2.6 이동장비 및 자산의 보안
A.11.2.7 장비의 처분과 재사용 보안
A.11.2.8 책임자 부재 사용자 장비
A.11.2.9 책상정리 및 스크린 화면 방침
A.12 운영보안
A.12.1 운영절차와 책임
A.12.1.1 문서화된 운영절차
A.12.1.2 변경관리
A.12.1.3 용량관리
A.12.1.4 개발, 테스트, 운영환경의 분리
A.12.2 악성프로그램으로부터의 보호
A.12.2.1 악성프로그램에 대한 통제
A.12.3 백업
A.12.3.1 정보백업
A.12.4 이벤트와 증적의 로깅 및 모니터링
A.12.4.1 이벤트 로깅
A.12.4.2 로그정보의 보호
A.12.4.3 관리자와 운영자 로그
A.12.4.4 시간동기화
A.12.5 운영소프트웨어 통제
A.12.5.1 운영시스템에 소프트웨어 설치
A.12.6 기술적 취약점 관리
A.12.6.1 기술적 취약점의 관리
A.12.6.2 소프트웨어 설치 제한
A.12.7 정보시스템 감사
A.12.7.1 정보시스템 감사 통제
A.13 통신보안
A.13.1 네트워크 보안관리
A.13.1.1 네트워크 통제
A.13.1.2 네트워크 서비스 보안
A.13.1.3 망분리
A.13.2 정보전송
A.13.2.1 정보전송 정책과 절차
A.13.2.2 정보전송에 대한 승인
A.13.2.3 전자 메세징
A.13.2.4 기밀성 및 비밀유지 서약
A.14 시스템 도입, 개발과 유지보수
A.14.1 정보시스템의 보안요건
A.14.1.1 보안요건 분석과 구분
A.14.1.2 공용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어플리케이션 서비스
A.14.1.3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거래보안
A.14.2 개발과 지원절차 보안
A.14.2.1 개발보안정책
A.14.2.2 변경통제절차
A.14.2.3 운영시스템 변경 후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검토
A.14.2.4 소프트웨어 패키지 변경에 대한 제한
A.14.2.5 시스템 개발절차
A.14.2.6 보안개발환경
A.14.2.7 외주개발
A.14.2.8 시스템 보안점검
A.14.2.9 시스템 수용점검
A.14.3 테스트 데이터
A.14.3.1 테스트 데이터의 보호
A.15 공급자 관계
A.15.1 공급자 관계 보안
A.15.1.1 공급자 관계에 대한 정보보안 정책
A.15.1.2 공급자에게 보안언급
A.15.1.3 정보통신기술 공급사슬
A.15.2 공급자 서비스제공 관리
A.15.2.1 공급자 서비스의 모니터링과 검토
A.15.2.2 공급자 서비스 변경관리
A.16 정보보안사고 관리
A.16.1 정보보안사고와 조치의 관리
A.16.1.1 책임과 절차
A.16.1.2 정보보안 사고 보고
A.16.1.3 정보보안취약점 보고
A.16.1.4 정보보안사고의 평가 및 결정
A.16.1.5 정보보안사고 대응
A.16.1.6 정보보안사고를 통한 학습
A.16.1.7 증거의 수집
A.17 사업연속성
A.17.1 정보보안 측면에서의 사업연속성관리
A.17.1.1 정보보안연속성 계획
A.17.1.2 정보보안연속성 시행
A.17.2 중복
A.17.2.1 정보처리설비의 가용성
A.18 법준수
A.18.1 정보보안검토
A.18.1.1 정보보안의 독립적 검토
A.18.1.2 보안정책과 기준의 법적 준거성
A.18.1.3 기술적 준거성 감사
A.18.2 법과 계약요건과의 준수
A.18.2.1 적용가능한 법적, 계약상의 요건 식별
A.18.2.2 지적재산권
A.18.2.3 문서화된 정보의 보호
A.18.2.4 개인정보보호
A.18.2.5 암호통제의 규정